[Python] 4강 - 파이썬 시작하기

2025. 4. 14. 00:22·⚡Python

1. 프로그래밍 기초

(1) 숫자와 문자

[1] 숫자

 - 정수(Integer) / int : 소수점이 없는 숫자

 - 실수(floating point) / float : 소수점이 포함되는 숫자

[2] 문자

 - 유니코드(unicode) 기반 문자 또는 문자열을 문자라고 한다.

 - 파이썬 에서 문자표현에는 반드시 인용 부호 " 또는 ' 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유니코드(unicode): 전 세계의 모든 문자들을 표현하기 위해 가변 길이의 4byte로 문자를 표현하는 코드 체계

 

(2) 기본연산자와 표현식

 - 피연산자와 연산자를 이용한 표현식은 파이썬 인터프리터에 의해 자동 계산이 된다.

 - 아래 사진은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연산자 중 "산술연산자"이다.

 

(3) 함수(function)

 -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의 집합으로 함수의 이름만으로 실행할 수 있는 단위이다.

 - 쉽게말해, 특정 함수를 정의할 때 함수 내부에 코드를 정의할 수 있으며, 해당 함수를 호출하면 해당 코드가 실행되는 것이다.

 - 즉, 함수는 한 번 정의해두면 여러번 어디서든 호출을 해서 이용할 수 있기에 재사용성이 뛰어남.

[1] 파이썬 함수

 - 많이 써본 코드인 print("Hello World")를 예시로 들면, 해당 코드의 형식이 함수를 의미한다.

 - print : 함수이름 , ("Hello Wolrd") : 입력값 을 나타내며, 정의 된 함수 print 에 입력값을 넣어 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 print() 함수 자체는 이미 내부적으로 정의가 되어있어 해당 함수를 호출하는 원리이다.

[2] 함수의 실행

 - 사진과 같이 print()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로 넣은 값을 통해 내부에 정의 된 코드를 실행 해서 결과를 돌려준다.

 

(4) 들여쓰기

 - 파이썬 언어는 들여쓰기에 의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들여쓰기가 필수이며, 안하면 오류가 난다.

 - 일반적인 타 언어에서는 들여쓰기에 대한 제약이 없어 전혀 오류가 나지 않는다.

 - 파이썬에서는 들여쓰기 부분이 코드의 논리적 집합인 블록을 표현한다.

 - 들여쓰기는 스페이스 4칸을 권장(PEP 8)

 - 블록 중첩 시 추가적인 4칸 들여쓰기 삽입을 해야한다.

 

(5) 문서화

[1] 주석(comment)

 - 실제 주석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아 코드에 섞여있어도 오류를 내뱉지않는다.

 - 하지만, 이러한 주석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코드의 대한 설명을 넣을 수 있다는 부분이다.

 - 코드의 대한 설명을 넣어 다른 사람이 봤을 때 가독성이 좋아져 개발 속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2] 주석의 종류

 - 한 라인 주석에는 # 기호를 사용 ex) # 주석입니다.

 - 여러 라인 주석에는 """ 또는 ''' 3개를 연달아 사용한다,

 


2. 데이터 저장

(1) 변수 (variable)

 - 값(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의미하며, 저장한 값은 변수라는 공간에 할당되어 재사용을 할 수 있다.

 - 쉽게 말해, 숫자나 문자등 다양한 데이터에 이름을 붙혀 저장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변수는 값을 변경하는 할당연산자(=)를 이용 한다는 특징이 있다.

 [1] 값의 할당

 - 변수를 만들어 값을 넣게 되면, 내부적으로는 메모리의 공간을 할당받아 그 공간에 값을 넣게 된다.

 - 이때, 공간의 할당은 인터프리터가 해주며, 해당 공간의 이름은 변수 공간을 할당할 때 만든 변수명이 된다.

 - 그림의 코드는 "number" 라는 변수명을 갖는 변수를 임의로 만들어 "1" 이라는 데이터의 값을 할당한 상태이다.

 - print() 함수를 통해 "number" 를 찍게 되면 결과값으로는 -> "1" 이 출력이 되는걸 볼 수 있다.

 

(2) 식별자

 - 프로그램 내부에 정의된 객체(변수, 함수 등)의 이름

 - 고유하게 만들어져야 하는 저장 공간의 이름을 식별자라고 볼 수 있다.

 - 쉽게 말해, 위의 예시 코드에서 "number" 를 식별자라고 보면 된다.

 * 보통은 변수 할당에는 변수명, 함수에는 함수명 이라고 칭함.

 

(3) 예약어 (reserved word)

 - 파이썬 인터프리터에 의해 이미 문법적인 용도로 사용되어 식별자로 사용이 불가능한 단어

 


3. 산술연산자

(1) 산술연산자의 정의

 - 피연산자(operand)에 대해 지정된 산술 연산을 지시하는 기호를 의미한다.

 - 쉽게말해, 산술 연산인 덧셈 뺄셈 나눗셈 곱셈 등의 대한 기호를 의미함.

 - 산술연산자에는 "단항 연산자" , "이항 연산자" 가 있다.

[1] 단항 연산자(unary operator)

 - 하나의 항 즉, 하나의 숫자에 연산자가 들어가는 경우를 의미함.

 - ex) -5, +5 와 같은 하나의 항을 갖는 단항에 연산자가 들어가는 경우

[2] 이항 연산자(binary operator)

 - 가장 흔히 사용되는 연산자로 두 개 이상의 항을 연산자 기호를 통해 연산을 하는 경우

 - ex) 1 + 1 / 1 - 1 ... 등

 

(2) 특수 산술연산자

 -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만 사용되는 연산 또는 부호

 - 파이썬에서 대표적으로 "정수 나눗셈 연산자(//)" , "모듈로 연산자(%)" 가 있다.

[1] 정수 나눗셈 연산자(//)

 - 해당 연산자는 몫을 무조건 정수로 반환해주는 연산자이다.

 - 즉, 소수점 이하를 버림(floor) 처리를 해서 돌려주게된다.

[2] 모듈로 연산자(%)

 - 두 수를 나눴을 때 나머지를 값을 구해주는 연산자이다.

 

(3) 연산자 우선순위

 - 연산자 우선순위는 표현식에서 사용된 여러 연산자의 연산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1] 괄호 내부의 수식

 [2] 지수(**) 연산자

 [3] 곱셈, 실수 나눗셈, 정수 나눗셈, 나머지 연산 (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적용 )

 [4] 덧셈, 뺄셈 연산자 (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적용 )

 [5] 할당 연산자

 

(4) 파이썬 내장 함수

- 항상 사용되는 함수들을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 기본적으로 내장해놓고 제공을 해주는 함수를 의미한다.

- 별도의 모듈이나 패키지 없이 사용이 가능함.

[1] 대표적인 함수

- max() / round() / min() / abs() / pow() ...

- 인자값으로 값을 넘기고 리턴을 받는 구조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6강 - 선택 구조  (0) 2025.04.16
[Python] 5강 - 순차 구조 및 제어 구조  (0) 2025.04.15
[Python] 개인 컴퓨터에서 파이썬 설치 및 VS Code로 실행하기  (0) 2025.04.11
[Python] 3강 - 파이썬의 이해  (1) 2025.04.11
[Python] 2강 - 컴퓨터의 구성  (0) 2025.04.09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6강 - 선택 구조
  • [Python] 5강 - 순차 구조 및 제어 구조
  • [Python] 개인 컴퓨터에서 파이썬 설치 및 VS Code로 실행하기
  • [Python] 3강 - 파이썬의 이해
junbin2
junbin2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 junbin2
    bin's Development Diary
    junbin2
  • 전체
    오늘
    어제
    • 전체보기 (146) N
      • 🎓방송통신대학교 (25)
        • 🖥️컴퓨터과학과 (1)
        • 🌍유비쿼터스 컴퓨팅 (10)
        • ⚙️컴퓨터의 이해 (11)
        • 🏛️세계의정치와경제 (3)
      • 📚Computer Science (0)
      • 🛠️Backend (2)
      • ☕Java (16) N
        • 📝Java Programming (15) N
        • 🧩Java Design Pattern (1)
      • 🌳Spring (9)
        • 🌱Spring Framework (6)
        • 🌱Spring Security (1)
      • ⚡Python (13)
      • 🛢️Database (0)
      • 🌿GitHub (1)
      • 🌐 Network (7)
        • 📜HTTP (7)
      • 🚀DevOps (1)
      • Algorithm Problem Solving (2)
      • Data Structure (1)
      • JavaScript (1)
      • ⛺스파르타코딩클럽 (65)
      • 잡담 (1)
      • 정리가 필요한 글 (2)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GitHub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유비쿼터스 컴퓨팅개론
    Java
    컴퓨터의 이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spring
    방송대
    컴파일러
    Spring Framework
    함수
    방통대
    파이썬
    스프링
    방송통신대학교
    자바
    유비쿼터스
    세계화
    클래스
    클라우드
    다형성
    Python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1
junbin2
[Python] 4강 - 파이썬 시작하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