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 함수와 기억 클래스(1)
·
🛠️Backend/⚙️C
✅ 1. 함수의 개념(1) 함수(function) 란?함수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독립적인 코드 블록을 의미한다.함수에 코드 블록에 정의된 코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매개변수를 통해 함수에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음.작업을 완료하면 호출한 곳으로 복귀 즉, return 을 하게 됨.복귀할 때 결과값을 반환할 수 있음.C 프로그램은 함수를 기본 단위로 하여 구성이 됨.(2) 함수의 특성[ 함수의 장점 ]크고 복잡한 프로그램을 작은 크기의 의미 있는 작업 단위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음.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유지 관리가 쉬워질 수 있음.반복 사용되는 코드의 중복을 최소화 할 수 있음.잘 설계된 함수는 다른 응용에서 재사용할 수 있음.[ 함수의 단점 ]함수 호출과..
[C언어] 입출력 함수와 연산자(2)
·
🛠️Backend/⚙️C
✅ 1. 산술 연산자(1) 연산자의 개념(2) 산술 연산자사칙연산을 포함한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를 의미한다.피연산자가 1개 일땐 단항 연산자, 2개 이상일 땐 이항 연산자로 구분됨.[ 이항 연산자 ]연산자간 덧셈으로 자료형의 범위를 벗어나는 오버플로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나눗셈의 제수 즉, x 나누기 0 는 불가능 함.정수형에만 사용이 가능한 연산자이다.나머지의 정의는 정수의 소수점 아래를 버리는 방식으로 됨.[ 이항 연산자 예시 ][ 단항 연산자 ]✅ 2. 관계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1) 불 값의 표현(2)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의 사용 예 ]a 가 4 인 경우 a > 2 에 대한 값으로는 참 값인 1 이 들어가게 된다. 반대로 거짓일 경우 0 이 들어간다.[ 정리 ]관계 연산자는 대..
[C언어] 입출력 함수와 연산자(1)
·
🛠️Backend/⚙️C
✅ 1. 표준 입출력의 개념(1) C 프로그램과 함수stdlib.h 헤더 파일에 EXIT_SUCCESS 는 0으로 되어있음. 즉, return 0 임.일반적인 함수에서는 반환값이 존재할 때 return 으로 자료형에 맞는 반환값을 넘겨줘야함.하지만 main() 함수에서는 반환값이 존재할 때 return을 안해줘도 return 0; 문자를 자동으로 넣어주게됨.int argc: 터미널로 넘기는 단어의 갯수를 보내줌char* argv[]: 이것도 단어 두개를 배열에 하나씩 담아서 보내줌.(2) 표준 입출력의 개념표준 입력(stdin) 과 표준 출력(stdout) 이 있음.✅ 2. 형식화 입출력함수(1) printf() 함수[ printf() 함수 예시 ]#include int main() { char c..
[C언어] 자료형과 선행처리기
·
🛠️Backend/⚙️C
✅ 1. 자료형과 상수(1) 자료형의 개념[ 자료형(data type) 이란? ]컴퓨터에서 값의 표현 방법을 정의한 것쉽게말해,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값이고, 메모리에서 어떻게 저장되고 처리 될지를 정의하는 규칙을 의미한다.값을 저장하거나 계산을 할 때 자료형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처리함(2) C 언어 자료형의 종류[ 기본형 (primitive types) ]언어에서 미리 정의되어 있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저장 단위를 의미한다.즉, 복잡한 구조 없이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기본 자료형에는 정수형, 문자형, 실수형 세 가지가 존재한다.[ 열거형 (enumerated type) ]// 내부적으로 각 이름에는 0부터 시작하는 정수 값이 자동 할당 됨 ( Sunday = 0 ... )enum W..
[C언어] C 언어의 개요
·
🛠️Backend/⚙️C
✅ 1. C 언어의 등장과 발전(1)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래밍이란? ]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해야 하는 일련의 명령을 작성하는 것[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2) C 언어의 탄생1972년 Bell 연구소의 Denis Ritchie가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컴퓨터 기종간 호환성이 높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하드웨어 수준의 제어와 빠른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언어PDP-7 컴퓨터에서 어셈블리어로 구현한 Unix 커널을 C언어로 재작성 즉, C로 바꿔서 쉽게 보이게함.다양한 컴퓨터에 Unix 운영체제를 이식할 수 있게 됨 ( 현대의 운영체제들은 대부분 Unix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