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3강 - 스택
                        ·
                          
                      🎓방송통신대학교/🔢자료구조
                        ✅ 1. 스택의 개념(1) 스택의 정의객체와 그 객체가 저장되는 순서를 기억하는 방법에 관한 자료구조이다.가장 먼저 입력된 자료가 가장 나중에 출력되는 관계를 표현함쉽게말해, 스택은 후입선출로써 가장 나중에 넣은 객체가 가장 먼저 나온다.이러한 추상 자료형을 구현하려면 구현과정에서 저장되는 순서를 기억해줘야 한다는 의미이다.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연산이 필요하며, 객체에 대한 정의와 연산이 모여서 순서가 기억되는 스택의 추상 자료형이 완성됨쉽게말해, 자료 구조에서 데이터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다루는 연산이 중요하며 스택(abstract data type, ADT)은 **데이터(객체) + 연산(push, pop 등)**이 모여 만들어지고 스택은 후입선출(LIFO) 순서를 유지한다는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