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 12일차 TIL - 객체 배열(ObjectArray)
·
⛺스파르타코딩클럽
240430# 오늘 꼭 기억 해야 할 것!1. 상속과 다형성오늘의 학습     ●  1. 객체배열    ●  2. 다형성    ●  3. 상속객체배열(ObjectArray) 1. 가장 기본적인 배열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ntArr = new int[index]; Double[] doubleArr = new Double[index];} // 가장 기본 배열 선언 및 초기화위의 코드 예시처럼 기본 자료형을 이용해서 만드는 배열은 자바에서 가장 기본적인 배열의 모습이다.배열 자체는 일반 변수와 다르게 변수명이 주소값을 가지게 된다. 즉, 메모리에 공간을 할당 받아서 값 자체가 아닌주소값을 통해 배열에 접근을 하게 되는것 이다.  2. 객체 배..
내일배움캠프 11일차 TIL - 과제(Calculator)
·
⛺스파르타코딩클럽
240429오늘의 학습     ●  1. 계산기 과제 Lv.1    ●  2. 계산기 과제 Lv.21. 계산기 과제 풀기오늘 계산기 만드는 과제를 하면서 유연하게 문제를 하나 해결한 부분이 있다.처음에는 while을 통한 무한 반복문에서 빠져나갈 방법을 생각하다가 "break" 키워드가 생각이나서 break를 넣었다.while(true){ System.out.println("더 계산하시겠습니까? (exit입력 시 종료)"); String exitMsg = sc.nextLine(); if(exitMsg.equals("exit")){ break; }}위의 코드로 만들게 되었는데 뭔가 반복문의 유연함이 부족한 것 같아서 반복문의 조건을 수정하기로 했다.반복의 조건을 종료 시 초기화를 시..
[Java] 예외 ( Exception )
·
🛠️Backend/☕Java
목차   ●  1. Error & Exception.    ●  2. 예외(Exception)    ●  3. 예외처리(1) try & catch    ●  4. 예외처리(2) try & catch    ●  5. 예외 처리 catch문 유용한 메서드    ●  6. 예외 종류( CheckedException & UnCheckedException )    ●  7. final구문   ●  8. throws구문  1. Error & Exception자바에서는 문제를 크게 Error, Exception 두 가지로 구분을 한다. 1. Error개발자가 직접 처리할 수 없는 문제를 의미한다. ( 메모리, 운영체제, 하드웨어, 외부적인 요인으로 생기는 문제 )즉, 작업을 하는 환경의 문제가 생긴 것을 의미하며 ..
(HTTP) Stateless, Stateful
·
🌐 Network/📜HTTP
HTTP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는 Stateless(무상태) 프로토콜을 지향한다는 점이다.이 Stateless를 알기 전에 반대되는 Stateful(상태유지)를 알아야 한다.Stateful : 상태유지 프로토콜 방식Stateful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해주는 프로토콜 방식이다.Stateful(상태유지) 같은 경우에는 연결이 유지가 된다. 예시로 들면웹사이트의 로그인 기능같은 다른 페이지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로그인이 유지가된다.이건 계속 연결이 되어있는 경우이다. 즉, 상태유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상태유지가 되야지물건을 구매했을 때 해당 로그인된 정보를 토대로 결제를 하기 때문이다.즉 서버에서 회원의 정보를 가지고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결이 되어있는 상태이다.Stateless : ..
HTTP
·
🌐 Network/📜HTTP
모든 것은 HTTP 기반 위에서 동작한다.html 이미지 영상 파일 뿐만 아니라 앱과 서버가 통신할때와 서버와 서버끼리 통신할때도 HTTP프로토콜 위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특히 백엔드 개발자는 SpringMVC나 JSP PHP, 파이썬 장고 루비온레일즈같은 웹 기술이나 웹프레임워크를 사용하게 됨 이런 웹 기술들이 모두 HTTP 기반으로 구현되어있음. 인터넷 네트워크1. 인터넷 통신컴퓨터 둘이 붙어있으면 단순히 케이블을 연결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대에는 컴퓨터간의 거리가 멀리떨어져있기 때문에 통신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것이 인터넷 통신 이다. 멀리있는 컴퓨터와의통신은 해저케이블이 될수도있고 인공위성을 통해 내려올 수도 있다. 수많은 중간 노드라는 서버를 거쳐서 메시지가안..
내일배움캠프 10일차 TIL - 예외(Exception)
·
⛺스파르타코딩클럽
240426# 오늘 꼭 기억 해야 할 것!1. try & catch 문 / finally 문 / throws문2. Generic 문법오늘의 학습     ●  1. 예외(Exception)    ●  2. 예외처리1. Error & Exception자바에서는 문제를 크게 Error, Exception 두 가지로 구분을 한다. 1. Error개발자가 직접 처리할 수 없는 문제를 의미한다. ( 메모리, 운영체제, 하드웨어, 외부적인 요인으로 생기는 문제 )즉, 작업을 하는 환경의 문제가 생긴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것은 프로그램상 해결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2. Exception개발자가 직접 처리할 수 있는 문제를 의미한다.( 프로그램상 코드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Exception(예외)라고한다. )쉽게 ..
내일배움캠프 9일차 TIL - 클래스(Class)
·
⛺스파르타코딩클럽
240425# 오늘 꼭 기억 해야 할 것!1. 상속과 다형성의 개념2. 알고리즘의 중요성..오늘의 학습     ●  1. 인스턴스 & 객체    ●  2. 클래스의 구성 요소    ●  3. this 키워드    ●  4. 생성자# 인스턴스 & 객체 뭐가 맞는 표현인가객체는 클래스와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즉, 객체는 메모리에 할당이 안된 상태(자바 실행전)또는 실행 후 메모리에 올라간 상태 두 가지를 객체라고 부를 수 있다.  인스턴스는 객체가 메모리에 할당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강조한 용어이다. 정리해보면 큰 범위로 객체는 인스턴스를 포함하고 있다는 말이다.1. 클래스의 구성 요소클래스의 구성으로는 "인스턴스 멤버", "생성자"가 존재한다.인스턴스 멤버의 구성으로는 인스턴스 필드, 인스..
내일배움캠프 8일차 TIL - 컬렉션(Collection)
·
⛺스파르타코딩클럽
240424# 오늘 꼭 기억 해야 할 것!1. List(ArrayList, LinkedList, Stack), Map, Set, Queue오늘의 학습     ●  1. Collection    ●  2. 자바 객체지향 - 클래스    ●  2. 자바 객체지향 - 상속컬렉션 (Collection)컬렉션은 자바에서 배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자료구조이다. (배열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컬렉션의 기능으로는 크기 자동조정/ 추가/ 수정/ 삭제/ 박복/ 순회/ 필터 포함확인 등등 매우 많고 다양하다.컬렉션은 기본형 변수가 아닌 참조형 변수를 저장한다. ( 배열은  1.  컬렉션(Collection)의 종류 List(ArrayList) :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 ( 데이터..
내일배움캠프 7일차 TIL - 배열(Array)
·
⛺스파르타코딩클럽
240423# 오늘 꼭 기억 해야 할 것!1. 얕은복사와 깊은복사의 개념2. 배열을 만들때 사용한 new의 대한 주소값 개념오늘의 학습     ●  1. 배열의 선언 및 초기화    ●  2. 배열의 값 넣기 및 뽑기(출력)    ●  3. 얕은복사    ●  3. 깊은복사배열 ( Array )배열이라는 "변수"에 변수나 값들을 넣어 보관하여 원할 때 꺼내서 쓰거나 넣거나 할 수 있는 자바의 자료구조이다.배열에는 "인덱스"라는 것이 존재하며 만들어진 배열의 칸 하나하나를 접근하는데 쓰이는 구분자 역할을 한다.참고 : index는 앞에서 0부터 시작한다. 즉, 배열의 제일 앞의 값의 인덱스는 0인 것이다.1. 배열의 선언 및 초기화1. 배열의 선언// 배열의 선언int[] in..
내일배움캠프 6일차 TIL - 변수(Variable)
·
⛺스파르타코딩클럽
240422 # 오늘 꼭 기억 해야 할 것! 1. 형변환 / 자료형 / 변수 2. 자료형에 대한 바이트 단위 오늘의 학습 ● 변수 ● 자료형(데이터 타입) ● 형변환 변수 ( Variable : 변하는 수 ) 자바에서 변수란 공간의 할당을 의미한다. 할당한 공간을 통해 원하는 값을 넣었다가 뺏다 다른 값을 넣었다가 뺏다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런식으로 값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변수라는 것이다. 예시 코드를 확인해보자. // 자바에서 변수를 이용해 선언 및 초기화를 하는 방법이다. int a = 1; // 변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 int라는 정수형을 알려주는 자료형에 a라는 변수의 이름을 선언 후 값을 넣어주면 된다. int a; // 변수 선언 a = 1; // 변수 초기화 Syste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