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일배움캠프 25일차 TIL - 외래키
·
⛺스파르타코딩클럽
240522오늘의 학습 ● 1. 외래키 및 외래키 제약조건 외래키(foreign key)테이블의 데이터 중복값을 최소한으로 만들기위해 테이블을 쪼개게되는데 그것을 정규화라고 한다. 정규화로 쪼개진 테이블의 관계를 맺어줄 때 테이블간의 알아볼 수 있는 외래키(일반 컬럼)를 만들어 접근을하게 된다. 이때 알아볼 수 있는 외래키는 보통 1:N 관계에서 1의 테이블의 PK를 이용하여 저장이될 N 테이블의 외래키를 만들게 된다.* 외래키는 하나의 일반컬럼이다. * 외래키(foreign key) 제약조건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간의 참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약을 걸어둘 수 있는 하나의 제약조건이다.2. 외래키에 대한 제약조건을 명시하여 강제적으로 외래키의 개념을 다룬 것이다. 외래키(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