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이해 12강 - 정보보안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학습 목표정보보안의 필요성과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정보보안의 3가지 주요 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해킹의 정의와 해킹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악성 프로그램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악성 프로그램에 감염되는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암호화, 전자서명, 백신 프로그램, 방화벽 등 보안 강화 방법들을 설명할 수 있다.✅ 1. 정보보안의 개요 (1) 정보보안의 등장 배경 및 정의(2) 정보보안의 목표(3) 정보보안의 종류 및 요구사항 (1) 정보보안의 등장 배경 및 정의인터넷의 보편화로 인해 오프라인 서비스가 온라인 서비스로 대부분 변화가 됨.이러한 상황에서 개인 정보등 중요한 정보에 대한 정보보안이 필요하게 됨.개인의 데이터가 누군가의 의해서 불법적으로 사용될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1] 정보보안 (i..
컴퓨터의 이해 11강 - 인터넷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학습 목표인터넷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의미, 역사, 특성)인터넷 주소와 도메인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DNS 서버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URL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인터넷 서비스의 종류를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전자우편, FTP, Telnet, Usenet, 월드 와이드 웹)✅ 1. 인터넷 개요(1) 인터넷이란?(2) 인터넷의 역사(3) 인터넷의 특성 (1) 인터넷이란? ( 기출 )Interconnected(사이) + Network(네트워크) = Internet이며,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의 집합을 의미함.쉽게말해, 전 세계적인 정보통신망을 의미한다.ARPANET: 인터넷의 전신이며, 국방성에서 개발 된 네트워크이다.TCP/IP: 패킷 교환용 통신 프로토콜이다. (2) 인터넷의 역사196..
[Backend]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 종류
·
🛠️Backend/📚백엔드 공부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란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개선하여 요청에 따른 응답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주기 위한 최적화를 의미한다. ✅ 1. 비즈니스 로직 최적화불필요한 코드 제거: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불필요한 코드를 제거함으로써, 연속을 최소화 효율적인 알고리즘 사용: 더 나은 시간 복잡도를 가진 알고리즘으로 대체 ✅ 2. DB 최적화쿼리 최적화: 비효율적으로 작성된 DB 쿼리 개선 ( 예시: 인덱스 추가, 쿼리 리팩토링, 조인 최적화 )커넥션 풀: DB와의 연결을 재활용하기 위해 커넥션 풀(HikariCP 등)을 설정하여 DB 커넥션 효율적으로 관리N+1 문제 해결: JPA나 ORM에서 발생하는 N+1 문제를 해결하여 DB 요청 최..
[Backend] 성능 최적화란?
·
🛠️Backend/📚백엔드 공부
성능 최적화란?서버에 트래픽이 몰릴 때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성능을 개선하는 작업을 의미한다.즉,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보내는 과정에서 더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이다.서버는 결국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하며, 이 과정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최적화는 3가지가 있다.🧱1. 하드웨어 최적화 (Infastructure 측면)스케일 업: CPU, 메모리, 디스크 등 한 대의 서버 사양을 업그레이드. 스케일 아웃: 서버의 수를 늘려 부하를 분산 (수평 확장).Auto Scaling, Load Balancer(HW) 도 여기에 포함.예시: EC2 인스턴스 타입 변경, 서버 개수 증가담당: 인프라 엔지니어, 클라우드 엔지니어🌐 2. 네트워크 최적화 (OSI 계..
컴퓨터의 이해 9강 -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1. 4차 산업혁명의 개요(1) 4차 산업혁명 개요 - Fourth Industrial Revolution(4IR) 이라고 부름 - Industry 4.0 -> 클라우스 슈밥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를 할 때 사용한 단어임. ( 스위스 다보스 포럼 회의체 ) (2) 4차 산업혁명의 역사 ( 기출 ) (3) 4차 산업혁명 특성 ( 기출 )[1] 초연결(hyper connectivity) - 네트워크로 연결(사람-사람, 사람-사물, 사물-사물) - 사물인터넷(IoT), 만물인터넷(IoE), 클라우드(Cloud)[2] 초융합(hyper convergence) - 기술의 융합 - 가상물리 시스템(CPS), MR, AI, 3D 프린팅[3] 초지능(hyper intelligence) - 사물지능(AI of ..
컴퓨터의 이해 8강 - 정보통신기술과 우리 사회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1.정보통신기술(1) 제3의 물결 - 제3의 물결은, 앨빈 토플러가 쓴 The Third wave(제3의 물결) 책임. - 해당 책은 사회의 변화와 역사를 물결로써 표현을 함.[1] 첫 번째 물결 - 농업혁명 - 농업혁명 전에는 원시/수렵/채집 사회임. - 농업혁명이 끝나며, 농업사회로 들어가게 된다.[2] 두 번째 물결 - 산업혁명 - 영국에서 엔진과 증기기관이 나오면서 산업혁명으로 넘어가게 된다. - 산업혁명이 끝나며, 산업사회로 들어가게 된다.[3] 세 번째 물결 - 정보혁명 - 당시에는 뭐라 표현하기 어려워 제3의 물결이라고 표현을 했지만, 현재는 정보혁명이라고 부른다. - 정보혁명이 끝나며, 정보사회(정보화사회)로 들어가게 된다. (2) 정보사회와 정보통신기술[1] 정보사회의 정의 ( 기출 ) ..
컴퓨터의 이해 7강 - 데이터베이스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1. 데이터베이스 개요(1) 데이터[1] 정보사회와 데이터 - 다양한 영역의 활동에 따른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가 발생함. - ex) 항공예약 데이터 : 예약자, 출발지, 목적지, 항공사, 탑승시간, 도착시간, 좌석 등 - 이러한 데이터들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을 하게 됨. ( 파일 형태로 ) (2) 파일[1] 파일이란?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 보관되어 있는 위치와 이름으로 접근하여 사용하게 됨.[2] 파일 구조[ 순차적 구조 ] - 파일에 데이터를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저장 및 조회를 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 순서대로 읽고 저장 ) -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을 해서 찾는 과정에는 적합하지 않는다. - 하지만, 파일 전체 일괄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는 괜찮은 구조이..
스파르타코딩클럽 - 2024년 Spring 백엔드 과정 수료 후기
·
정보
글쓴이는 내일배움캠프 Spring 백엔드 과정을 2024년 4월 중순에 시작하여, 8월말에 학원을 수료함. 1. 진행 과정내가 했던 기수 시간표 기준 4개월간 매일 오전9시 - 오후9시 (12시간 진행) (1) Git-Hub 기초(2) 웹 개발 기초 ( HTML, CSS, JavaScript ) 및 웹 페이지 미니 팀프로젝트 진행, 발표(3) 자바 기초 및 팀 과제 발표(4) 스프링 기초 및 팀 과제 발표(5) 스프링 일반 및 팀 과제 발표 ( Spring Security , JWT )(6) 스프링 심화 및 팀 과제 발표(7) JPA 및 팀 과제 발표 ( 여기까지 3개월 걸림 )(8) 최종프로젝트 및 발표2. 난이도완전 처음 하는 사람 기준으로는 난이도가 다소 높다고 느낌.( 처음하는 사람이라면 최소, ..
[Python] 12강 - 파일
·
🛠️Backend/⚡Python
1. 파일의 이해(1) 파일의 역할 -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또는 처리된 데이터와 정보가 임시적으로 저장된 상태를 파일이라고 한다. - 일련의 연속된 바이트로 볼 수 있고, 프로그램(파이썬 소스코드)에 읽혀 가공 및 처리가 파일의 역할이다. (2) 파일의 구성 - 파일은 연속된 바이트의 형태로 기록이 됨. - 연속된 바이트와 파일의 시작, 파일 포인터(현재 위치), 파일의 끝(EoF)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이 되어있음 (3) 파일의 종류 -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에 따라 구분이 된다. ( 대표적 2가지 텍스트, 바이너리 ) - 가장 크게 구분 할 수 있는건, 메모장으로 해당 파일이 열리면 텍스트 파일 안열리면 바이너리 파일이다.[1] 텍스트 파일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로 구성이된 파일을 의미한다. ..
[Python] 11강 - 모듈
·
🛠️Backend/⚡Python
1. 모듈의 이해(1) 모듈의 개념 - 클래스, 함수, 변수의 집합을 의미한다. - 파이썬에선 파이썬 코드(.py 파일)를 하나의 파일 단위로 저장한 것을 모듈이라 함. - 즉, 하나의 파일에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을 모아두고 이걸 다른 파이썬 파일에서 import(불러오기)해서 이용을 한다. (2) 모듈의 역할 - 파이썬 파일로 나눠서 유지보수성과 가독성을 좋게 만들 수 있음. 관리하기가 쉬움 - 또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식으로 불러와서 이용을 할 수도 있음. ( 특히 파이썬은 라이브러리가 많음 ) (3) 모듈, 패키지, 라이브러리 차이 - 모듈 : 클래스, 함수, 상수(변수)의 집합 - 패키지 : 하위 패키지 및 모듈의 집합 - 라이브러리 : 패키지 및 모듈의 집합 (4) 모듈 등록 방법[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