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의 이해 7강 - 데이터베이스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1. 데이터베이스 개요(1) 데이터[1] 정보사회와 데이터 - 다양한 영역의 활동에 따른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가 발생함. - ex) 항공예약 데이터 : 예약자, 출발지, 목적지, 항공사, 탑승시간, 도착시간, 좌석 등 - 이러한 데이터들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을 하게 됨. ( 파일 형태로 ) (2) 파일[1] 파일이란?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 보관되어 있는 위치와 이름으로 접근하여 사용하게 됨.[2] 파일 구조[ 순차적 구조 ] - 파일에 데이터를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저장 및 조회를 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 순서대로 읽고 저장 ) -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을 해서 찾는 과정에는 적합하지 않는다. - 하지만, 파일 전체 일괄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는 괜찮은 구조이..
스파르타코딩클럽 - 2024년 Spring 백엔드 과정 수료 후기
·
정보
글쓴이는 내일배움캠프 Spring 백엔드 과정을 2024년 4월 중순에 시작하여, 8월말에 학원을 수료함. 1. 진행 과정내가 했던 기수 시간표 기준 4개월간 매일 오전9시 - 오후9시 (12시간 진행) (1) Git-Hub 기초(2) 웹 개발 기초 ( HTML, CSS, JavaScript ) 및 웹 페이지 미니 팀프로젝트 진행, 발표(3) 자바 기초 및 팀 과제 발표(4) 스프링 기초 및 팀 과제 발표(5) 스프링 일반 및 팀 과제 발표 ( Spring Security , JWT )(6) 스프링 심화 및 팀 과제 발표(7) JPA 및 팀 과제 발표 ( 여기까지 3개월 걸림 )(8) 최종프로젝트 및 발표2. 난이도완전 처음 하는 사람 기준으로는 난이도가 다소 높다고 느낌.( 처음하는 사람이라면 최소, ..
[Python] 12강 - 파일
·
🛠️Backend/⚡Python
1. 파일의 이해(1) 파일의 역할 -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또는 처리된 데이터와 정보가 임시적으로 저장된 상태를 파일이라고 한다. - 일련의 연속된 바이트로 볼 수 있고, 프로그램(파이썬 소스코드)에 읽혀 가공 및 처리가 파일의 역할이다. (2) 파일의 구성 - 파일은 연속된 바이트의 형태로 기록이 됨. - 연속된 바이트와 파일의 시작, 파일 포인터(현재 위치), 파일의 끝(EoF)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이 되어있음 (3) 파일의 종류 -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에 따라 구분이 된다. ( 대표적 2가지 텍스트, 바이너리 ) - 가장 크게 구분 할 수 있는건, 메모장으로 해당 파일이 열리면 텍스트 파일 안열리면 바이너리 파일이다.[1] 텍스트 파일 -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문자로 구성이된 파일을 의미한다. ..
[Python] 11강 - 모듈
·
🛠️Backend/⚡Python
1. 모듈의 이해(1) 모듈의 개념 - 클래스, 함수, 변수의 집합을 의미한다. - 파이썬에선 파이썬 코드(.py 파일)를 하나의 파일 단위로 저장한 것을 모듈이라 함. - 즉, 하나의 파일에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을 모아두고 이걸 다른 파이썬 파일에서 import(불러오기)해서 이용을 한다. (2) 모듈의 역할 - 파이썬 파일로 나눠서 유지보수성과 가독성을 좋게 만들 수 있음. 관리하기가 쉬움 - 또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식으로 불러와서 이용을 할 수도 있음. ( 특히 파이썬은 라이브러리가 많음 ) (3) 모듈, 패키지, 라이브러리 차이 - 모듈 : 클래스, 함수, 상수(변수)의 집합 - 패키지 : 하위 패키지 및 모듈의 집합 - 라이브러리 : 패키지 및 모듈의 집합 (4) 모듈 등록 방법[1]..
컴퓨터의 이해 6강 - 소프트웨어와 정보 시스템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1. 소프트웨어의 종류(1) 소프트웨어란? -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다양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일련의 명렁어로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 및 관련 데이터를 의미 -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컴퓨터를 사용함 (2) 소프트웨어의 종류 - 소프트웨어의 종류는 크게 "응용 소프트웨어" ,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있다. - 응용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아래 그림과 같이 동작을 한다. (3) 시스템 소프트웨어[1] 시스템 소프트웨어란? - 컴퓨터 하드웨어를 운영하고, 응용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기 위한 기반 구조를 형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 컴퓨터 사용자가 손쉽게 컴퓨터를 쓸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주는 기능을 갖춘 프로그램이..
[Python] 10강 - 객체지향
·
🛠️Backend/⚡Python
1. 객체지향의 이해2.. 클래스와 인스턴스3. 객체지향의 활용 1. 객체지향의 이해(1) 객체지향의 개념 - 객체와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의미한다. -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을 쉽게 만들어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을 함.[1]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특징 - 추상화 : 공통의 속성이나 기능을 도출 - 캡슐화 :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의 연산을 결합 - 상속 : 상위 개념의 특징이 하위 개념에 전달 - 다형성 : 유사 객체의 사용성을 그대로 유지 (2) 객체와 클래스[1] 객체 정의- 객체는 추상화와 캡슐화의 결과를 의미한다. - 실세계의 사물에 대한 상태(데이터)와 연산(메소드)을 표현한 단위를 말한다. - 멤버(데이터 필드, 메소드)는 클래스에 의해 결정..
[Python] 9강 - 함수
·
🛠️Backend/⚡Python
1. 함수의 이해(1) 함수의 개념 -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문의 집합을 의미한다. ( 코드 블록에 이름을 붙여놓은 것 ) - 필요할 때마다 해당 이름을 호출해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 집합을 의미한다. - 함수를 활용하면 코드의 가독성 및 유지보수가 좋아짐 (2) 함수의 종류[1] 내장 함수 -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는 대표적으로 print() , input() , format() , int() 등 다양한 함수가 내장이 되어있음.[2] 사용자 정의 함수def add(a, b): print(a + b) # a + b 결과값 출력add(1, 2) # 함수 호출 - 사용자 정의 함수는 직접 함수를 만들어서 명령문 로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 해당 함수를 호출 하면 해당 함수의..
[Python] 파이썬 인터프리터(Interperter) 쉽게 이해하기
·
🛠️Backend/⚡Python
1. 인터프리터(Interperter) - Interperter : "통역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인터프리터는 한 줄씩 바로바로 읽고 통역을 해서 실행을 해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쉽게말해,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면 실시간으로 한 줄씩 해석해서 실행을 한다는 말임. - 상상이 안갈테니, 바로 이해하기 쉽게 실행 과정으로 알려주겠음. 2. 파이썬 프로그램 실행 과정(1) 소스코드 작성 - .py 확장자를 가지는 소스코드를 의미함. (2) 소스코드 실행 - 내부적인 명령어 python test.py -> test.py 파이썬 코드 실행 (3) 파이썬 인터프리터 실행 - 파이썬 인터프리터안에는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2개가 내장이 되어있음. (4) 컴파일러 실행 - 바이트코드 변환 - 컴파일 단..
[Python] 7강 - 반복 구조
·
🛠️Backend/⚡Python
1. 반복 구조의 정의2. 리스트3. 반복 구조의 확장 1. 반복 구조의 정의(1) 반복 구조의 개념 - 특정 영역의 명령문을 여러 번 실행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 반복 횟수를 조건에 따라 결정 - loop, iterate, repeat 용어가 혼용 ( 다 똑같음 ) (2) 반복 구조의 구문형식[1] while 문 - 구문형식 : 조건 제어 반복 - 반복 조건이 참일 동안 계속할 때 즉, 횟수는 모르고 거기까지만 돌릴때 사용 - 반복 조건이 True일 동안 반복, False가 될 경우 종료i = 0while i [2] for 문 - 구문형식 : 계수 제어 반복 -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사용 - 정해진 시퀀스 만큼 반복을 돌리면 종료for i in range(5): # 코드블럭 5번 반복 p..
[Python] 6강 - 선택 구조
·
🛠️Backend/⚡Python
2. 논리연산자3. 선택 구조의 확장1. 선택 구조(1) 선택 구조의 개념 - 특정 영역 내의 명령문에 대한 실행 여부를 판단에 따라 결정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 실행 여부는 조건에 따라 결정이 된다. ( 파이썬에선 if문을 의미한다. ) (2) 선택 구조의 구문형식a = 1if a - 들여쓰기는 코드 블록을 표현함. -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한 라인 이상의 명령문의 집합 - 스페이스 4칸 권고(PEP-8) - if 와 : 사이에는 논리형(boolean) 타입에 맞게 true & false로 참일 경우와 거짓일 경우에 명령문을 실행할 수 있음. (3) 불리언식 - 비교연산자를 사용하여 결과가 불리언 타입으로 생성되는 표현식을 의미함. - 쉽게 말해, true 와 false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