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9강 - 함수
·
🛠️Backend/⚡Python
1. 함수의 이해(1) 함수의 개념 -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문의 집합을 의미한다. ( 코드 블록에 이름을 붙여놓은 것 ) - 필요할 때마다 해당 이름을 호출해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코드 집합을 의미한다. - 함수를 활용하면 코드의 가독성 및 유지보수가 좋아짐 (2) 함수의 종류[1] 내장 함수 - 파이썬의 내장 함수로는 대표적으로 print() , input() , format() , int() 등 다양한 함수가 내장이 되어있음.[2] 사용자 정의 함수def add(a, b): print(a + b) # a + b 결과값 출력add(1, 2) # 함수 호출 - 사용자 정의 함수는 직접 함수를 만들어서 명령문 로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 해당 함수를 호출 하면 해당 함수의..
[Python] 파이썬 인터프리터(Interperter) 쉽게 이해하기
·
🛠️Backend/⚡Python
1. 인터프리터(Interperter) - Interperter : "통역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인터프리터는 한 줄씩 바로바로 읽고 통역을 해서 실행을 해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쉽게말해,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면 실시간으로 한 줄씩 해석해서 실행을 한다는 말임. - 상상이 안갈테니, 바로 이해하기 쉽게 실행 과정으로 알려주겠음. 2. 파이썬 프로그램 실행 과정(1) 소스코드 작성 - .py 확장자를 가지는 소스코드를 의미함. (2) 소스코드 실행 - 내부적인 명령어 python test.py -> test.py 파이썬 코드 실행 (3) 파이썬 인터프리터 실행 - 파이썬 인터프리터안에는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2개가 내장이 되어있음. (4) 컴파일러 실행 - 바이트코드 변환 - 컴파일 단..
[Python] 7강 - 반복 구조
·
🛠️Backend/⚡Python
1. 반복 구조의 정의2. 리스트3. 반복 구조의 확장 1. 반복 구조의 정의(1) 반복 구조의 개념 - 특정 영역의 명령문을 여러 번 실행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 반복 횟수를 조건에 따라 결정 - loop, iterate, repeat 용어가 혼용 ( 다 똑같음 ) (2) 반복 구조의 구문형식[1] while 문 - 구문형식 : 조건 제어 반복 - 반복 조건이 참일 동안 계속할 때 즉, 횟수는 모르고 거기까지만 돌릴때 사용 - 반복 조건이 True일 동안 반복, False가 될 경우 종료i = 0while i [2] for 문 - 구문형식 : 계수 제어 반복 -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사용 - 정해진 시퀀스 만큼 반복을 돌리면 종료for i in range(5): # 코드블럭 5번 반복 p..
[Python] 6강 - 선택 구조
·
🛠️Backend/⚡Python
2. 논리연산자3. 선택 구조의 확장1. 선택 구조(1) 선택 구조의 개념 - 특정 영역 내의 명령문에 대한 실행 여부를 판단에 따라 결정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 실행 여부는 조건에 따라 결정이 된다. ( 파이썬에선 if문을 의미한다. ) (2) 선택 구조의 구문형식a = 1if a - 들여쓰기는 코드 블록을 표현함. -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한 라인 이상의 명령문의 집합 - 스페이스 4칸 권고(PEP-8) - if 와 : 사이에는 논리형(boolean) 타입에 맞게 true & false로 참일 경우와 거짓일 경우에 명령문을 실행할 수 있음. (3) 불리언식 - 비교연산자를 사용하여 결과가 불리언 타입으로 생성되는 표현식을 의미함. - 쉽게 말해, true 와 false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데이터..
컴퓨터의 이해 5강 - 보조기억장치와 데이터 저장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1. 보조기억장치 개요(1)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보조기억장치에는 반영구적인 프로그램들이 저장이되어, 주기억장치(RAM)에 올라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원리이다.- 쉽게말해, CPU는 주기억장치를 통해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개념이다. (2) 보조기억장치의 필요성[1] 대용량의 기억장치의 필요성 - 주기억장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모두 수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는 기억장치이다. - 주기억장치는 빠른 대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보조기억장치는 용량이 크고 싸다는 장점이 있음. - 반도체 집적기술의 향상으로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크게 늘었지만, 컴퓨터 응용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데이터는 더 큰 폭으로 증가 되었음. - 이러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보조기억장치가 필요하다..
[Python] 5강 - 순차 구조 및 제어 구조
·
🛠️Backend/⚡Python
1. 제어 구조의 이해(1) 제어 구조란? - 프로그램의 흐름(실행 순서)을 개발자가 의도한 대로 바꾸는 구조 - 쉽게 말해,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본적으로 코드를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함. - 하지만, 때론 조건문이나 반복문을 통해 다르게 실행되거나 반복이 되어는 구조가 있음. 이것이 제어 구조임. (2) 구조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절차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하위 개념 - 프로그램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하는 방법론이다. - 프로그램 흐름을 제어 구조를 이용해 세분화 및 모듈화 하는 방식을 강조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3) 구조적 프로그래밍 3가지 기본 구조[1] 순차 구조 (Sequential Structure) - 순차 구조는 프로그램에서 명령어들이 위에서 아래로 차례대로 순차적으..
[Java] JVM과 자바 실행 원리
·
🛠️Backend/☕Java
(1) 자바의 프로그램 기본적인 동작 과정[1] 소스 코드 작성 -> .java 소스 파일 생성[2] 자바 컴파일러를 통해 .java 소스 파일을 .class(바이트 코드) 파일로 변환[3] JVM을 통해 .class 파일을 기계어로 변환 -> 기계어는 운영체제를 통해 실행[4] 결과적으로 운영체제가 프로그램을 실행함.* 바이트코드 : 자바 컴파일러를 통해 JVM이 읽을 수 있도록 번역을 해놓은 코드를 바이트코드라고 한다. (2) 자바 컴파일러 -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java 소스코드를 JVM 이 읽을 수 있도록 바이트코드로 번역을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 컴파일 과정에서 구문 분석, 타입 검사, 최적화, 바이트 코드 생성을 해준다. (3) JVM(Java Virtual Machine) - 자바 바이..
[Python] 4강 - 파이썬 시작하기
·
🛠️Backend/⚡Python
1. 프로그래밍 기초(1) 숫자와 문자[1] 숫자 - 정수(Integer) / int : 소수점이 없는 숫자 - 실수(floating point) / float : 소수점이 포함되는 숫자[2] 문자 - 유니코드(unicode) 기반 문자 또는 문자열을 문자라고 한다. - 파이썬 에서 문자표현에는 반드시 인용 부호 " 또는 ' 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유니코드(unicode): 전 세계의 모든 문자들을 표현하기 위해 가변 길이의 4byte로 문자를 표현하는 코드 체계 (2) 기본연산자와 표현식 - 피연산자와 연산자를 이용한 표현식은 파이썬 인터프리터에 의해 자동 계산이 된다. - 아래 사진은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연산자 중 "산술연산자"이다. (3) 함수(function) - 특정 작업을 수행하..
[Python] 개인 컴퓨터에서 파이썬 설치 및 VS Code로 실행하기
·
🛠️Backend/⚡Python
개인 컴퓨터에서 Python 설치 후 VS Code로 실행하기 위한 환경 세팅 방법 (1) Python 설치하기https://www.python.org/ Welcome to Python.org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www.python.org 1. 바로 위에 링크를 클릭하면 나오는 첫 번째 화면에서 그림과 같이 빨간 표시로 제일 최신 버전을 받아줍니다.  2. 다운로드 받은 Installer를 실행하기 3. Installer 실행하면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표시에 맞게 싹 체크를 한 뒤 설치를 해주면 된다. 참고 : Add python.exe to PATH 는 PC내 어디서든 명령어로 실행할 수 있도록 환경 변수에 등록하는 것임. ..
[Python] 3강 - 파이썬의 이해
·
🛠️Backend/⚡Python
1. 파이썬의 개요(1) 파이썬의 탄생 배경네덜란드 과학자 "히도 판로쉼" 이 1991년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1] 히도 판로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에서 수학과 컴퓨터 전공- 좋아하는 코미디 "Monty Python's Flying Circus"를 통해 "Python" 이라는 이름으로 짓게 됨.- "Python" 은 히도 판로쉼이 크리스마스에 연구실이 7일간 잠겨 할일이 없어 만들게 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세부적인 이유로는, 히도 판로쉼은 분산 운영체제 '아메바(Amoeba)'의 시스템 관리용 쉘 스크립트 언어를 개발하려했음.- 연구실이 크리스마스로 7일간 폐쇄되자 남는 시간에 평소 만들고 싶었던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현했다.- 그것이 파이썬 이며, 파이썬은 쉘 스크립트 언어로 처음 개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