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컴퓨팅개론 1강 - 유비쿼터스 혁명
·
🎓방송통신대학교/🌍유비쿼터스 컴퓨팅
1강 - 2강 : 유비쿼터스 공간, 유비쿼터스 사회, 유비쿼터스 혁명,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내용3강 - 15강 : 유비쿼터스 기술과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대한 내용1. 공간의 발전 역사(1) 도시혁명- 대규모의 도시사회를 기반으로 복합적인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 구조- 사회적 거리와 시간을 줄이기 위한 측면의 발전* 사람들이 모여산다는게 핵심이며, 그것이 곳 도시를 만들고 도시혁명이 된 것 이다. (2) 산업혁명- 생산의 기계화를 통해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 구조 및 사회 구조- 운송수단의 발달로 인한 물리적 이동 범위의 확대 및 소식과 정보의 유통이 가능해짐. (3) 인터넷 혁명-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터넷과 웹 서비스의 탄생- 단순히 전선으로 연결된 통신네트워크 개념..
컴퓨터의 이해 3강 - 처리장치와 데이터 처리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목차1. 처리장치 ( CPU , 기억장치 )2. 수치 데이터의 표현과 진법변환3. 문자데이터의 표현방법4. 주기억장치 주소, 데이터 저장, 명령어5. 주기억 장치의 발달과정6. 입력, 처리, 출력의 데이터 처리과정 1. 처리장치(1)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회로, 레지스터가 들어 있고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가져와 해석하고 명령어가 명시한 대로 계산하고 데이터를 이동시키며,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 산술논리연산장치 : 가감승제(+,-,/,*) 및 논리명령을 수행하는 전자회로가 있다.- 제어장치 :컴퓨터시스템 전체를 지시 감독하며 조정, 입력과 출력제어, 연산 제어, 데이터 이동- 프로세서 레지스터 : 처리할 명령어를..
MSA와 모놀리식 아키텍처 알아보기
·
정리가 필요한 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컴퓨터의 이해 2강 - 컴퓨터와 통신산업의 발전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1. 초기 계산도구들과 전자식 계산기들(1) 초창기 계산도구 - 1600~1800년도- 1617년 네이피어 봉- 1642년에 파스칼(Blaise Pascal)의 가산기- 1674년에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의 승제산기- 1843년 영국 Charls Babbage 해석기계(analytical engine) 설계-> 입력, 출력, 기억, 제어, 계산장치 등 현재 컴퓨터의 5대 기능과 비슷, 당시 기술로 제작은 불가능 (2)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 - 1900년도- ABC : 1937-1942년에 제대로 된 계산기가 등장을 하며, 해당 컴퓨터는 Atanasoff와 Clifford Berry 각자의 이름을 따서 만든 "ABC"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다. 진공관을 사용하며 전자식인 최초의 컴퓨터이..
컴퓨터의 이해 1강 - 정보사회와 정보혁명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의 이해
1. 정보사회와 정보혁명19세기 산업혁명증기기관의 발명에 의하여 산업과 사회의 제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킴 20세기 정보혁명컴퓨터, 반도체기술, 통신기술, 인터넷, 멀티미디어, 광통신 네트워크 등 뉴미디어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하여 산업과 사회의 각 분야를 크게 변화 시킴* 산업과 사회가 이전에 비해 크게 변화가 되어서 혁명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게 됨. 정보화사회 ( 정보사회 )- 20세기 정보혁명을 이룬 사회를 정보화사회라고 말한다.- 모든 곳에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이 구성이 되고있고, 이것을 유비쿼터스라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어 들이 탄생함 ex) IT 혁명, 인터넷 혁명, 모바일 혁명, 디지털 혁명, 4차산업 혁명 등 4차 산업혁명클라우스 슈바프, 2016 세계경제포럼..
방송통신대학교(2025년) 컴퓨터과학과 - 수강, 교과, 학점 정리
·
🎓방송통신대학교/🖥️컴퓨터과학과
0. 참고 사항방송통신대학교 2025년 신입학을 하면서, 궁금했던 부분을 알아보면서 정리한 내용이며, 1학년 신입학을 기준으로 정리한 내용이라 편입학은 이 글을 굳이 볼 필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1. 수강 신청25년 수강신청 안내 공지 ( 여기에 다있음 ) : https://www.knou.ac.kr/bbs/knou/51/735820/artclView.do K2WebWizard누구나 인터넷으로부터 자유롭기를 희망하며www.knou.ac.kr// 밑의 글은 이 링크를 통해서 정리한 글임. (1) 신입생 지정 교과목- 신입생 기준 4과목을 자동으로 수강 신청이 된다. ( 지정교과목으로 편의를 제공해주기 위함 )- 편의를 제공할 뿐, 수강에 대해서는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 ( 물론 기간내에 )- 변..
[Deploy] Spring & MySql & docker-compose 활용 EC2에 간단하게 배포하기
·
🚀DevOps
배포 전 알아야 할 사항- 이 과정은 EC2에 Docker 및 Docker Compose를 설치하는 작업과 EC2 내부에 Docker를 띄워서 Docker Compose를 활용해 Docker-Hub로 부터 image를 받아와 서버를 배포하는 작업을 담고 있음.- 새로운 AWS EC2 인스턴스 생성 (아무것도 없는 빈 클라우드 컴퓨터여야함 )- Docker-Hub에 계정을 만들어서 Spring 프로젝트를 Hub로 올릴 Repository를 만들어 둬야함.- Docker와 Docker Desktop이 로컬에 깔려 있어야 함.- spring 프로젝트에 env설정이 되어있어야함. env설정은 필수 ! 1. EC2) Docker 설치# 1. 프로그램 설치 전 우분투 시스템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get..
SOP & CORS
·
🌐 Network/📜HTTP
SOP와 CORS는 웹 관련 기술을 표준화 해주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SOP와 CORS를 표준으로써 정의하고 있다. 즉, 모든 브라우저에서는 이 표준을 법적으로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는 의미이다.결론은 모든 브라우저에서 SOP와 CORS에 대한 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는 의미임. 꼭 배워야 함. SOP ( Same-Origin Policy )Same Origin Policy는 "동일 출처 정책" 이라는 의미로 해석이 됨.먼저 SOP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Same-Origin Policy에서 Origin을 이해해야 한다. Originconsole.log(location.origin) 명령어를 이용하게 되면 현재 사이트의 Origin..
[Spring Data JPA] JPA Entity 클래스에 기본 생성자가 필요한 이유
·
🛠️Backend/🌳Spring
JPA 기본 생성자가 필요한 이유@PersistenceContextprivate EntityManager entityManager;public User getUser(Long userId) { User user = entityManager.find(User.class, userId); return user; // JPA가 내부적으로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여 객체를 생성하고, 리플렉션을 통해 필드 값을 설정}해당 과정을 살펴 보면 entityManager.find 즉, 조회 과정에서 User.class 타입을 인자로 받고 있다.이 User.class 이 클래스 정보로 내부에 애너테이션이나 필드 생성자 등의 정보를 리플렉션을 통해 얻을 수 있게 된다.그러면 이 정보를 가지고 DB에 데이터를 조회할..
[HTTP] 웹 탄생 배경
·
🌐 Network/📜HTTP
웹 탄생 배경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Tim Berners-Lee" 라는 인물이 만들었다.팀 버너스 리는 CERN(유럽입자물리연구소)에서 일을 하면서, 당시 너무 많은 과학자들이 모여있던 연구소에는 엄청난 양의 논문과 지식이 쌓여있었고 사람들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당시에 논문을 책으로 찾아보거나 물리적으로 엄청난 시간이 들여서 정보를 찾는 과정이 필요했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불편함 때문에 팀 버너스 리는 컴퓨터를 활용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게 되었고 해당 소프트웨어가 웹의 시작이 되었다. 1989년팀 버너스 리는 CERN(유럽입자물리연구소)에서 일을 하면서, 정보 관리 시스템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게 되었고 해당 아이디어는 문서들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